"국정원, 전담 직원 통해 4대강 입찰담합 정보수집"
공정거래위원회 간부가 4대강 사업 1차공사에 참여한 대형 건설사들의 담합사건 처리를 대선 이후로 늦추겠다는 계획을 김동수 당시 위원장에게 보고한 뒤 파기토록 지시했다는 것을 감사원이 감사과정에서 확인했다고 국회 법사위 소속 야당 의원들이 13일 밝혔다.
김동수 전 위원장은 지난해 국회 정무위 국정감사에서 해당 문건에 대해 "보고 받지도 않았고 존재하지도 않았다"고 답변한 바 있어 감사원 문답서의 내용이 사실일 경우 위증 논란이 예상된다.
- 자리로 향하는 양건 감사원장
- (서울=연합뉴스) 하사헌 기자 = 양건 감사원장이 23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첨석, 4대강 사업 에 대한 감사와 관련해 긴급 현안 보고를 한 후 자리로 향하고 있다. 2013.1.23 toadboy@yna.co.kr
의원들은 또 국정원이 전담 직원을 두고 관련부처를 상대로 4대강 사업 입찰 담합에 대한 정보 수집 작업을 벌였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의원들은 지난 10일 국회에서 감사원이 지난 7월 발표한 4대강 사업에 대한 3차 감사 관련 감사원의 내부 문건을 열람·검증한 결과 이 같은 내용을 밝혀냈다고 전했다.
- 민주당,"MB, 4대강에 배 다닐 수 있도록 지시"
- (서울=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민주당 4대강 불법비리 진상조사위원회 이미경(오른쪽), 박수현 의원이 2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4대강과 관련한 국토교통부 내부 문건을 공개하며 "이명박 전 대통령이 직접 4대강에서 가장 깊은 곳의 수심을 5∼6m가 되도록 굴착할 것을 지시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2013.10.2 scoop@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f6464
감사원이 올해 초 공정위 감사 당시 작성한 '문답서'에 따르면 공정위 S서기관은 지난 2월22일 "(당시 카르텔국장이었던) K국장이 4대강 입찰담합과 관련,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에게 보고할 문건 작성을 지시했으며, (K국장이) '나는 보고를 안 받은 것으로 할테니 보안에 유의하고 문서를 파쇄하라'고 지시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돼 있다.
K국장은 지난 3월15일 감사원 조사에서는 해당 문건에 대해 "본 적 없다", "작성 지시를 한 적이 없다"면서 파쇄 지시 자체를 부인했으나, 3일 후인 3월18일 조사에서 이를 번복한 것으로 문답서에는 기술돼 있다.
- 민주당이 공개한 4대강 관련 국토교통부 내부 문건
- (서울=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민주당 4대강 불법비리 진상조사위원회 이미경, 박수현 의원이 2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공개한 4대강과 관련한 국토교통부 내부 문건. 이들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직접 4대강에서 가장 깊은 곳의 수심을 5∼6m가 되도록 굴착할 것을 지시했다"고 주장했다. 2013.10.2 scoop@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f6464
뿐만아니라 K국장은 추가 조사에서 문서 작성 지시 사실을 인정하면서 "김동수 위원장이 '보안에 유의하고 보고를 받지 않은 것으로 하자'고 말했다"고 진술했다고 의원들은 전했다.
이 같은 진술내용은 공정위 간부들이 19대 총선과 대선 등을 감안해 4대강 사업 입찰담합사건에 대한 상정(사건의 처분) 시기를 대선 이후로 잡고 4대강 담합사건 조사를 실시한다는 내용이 담긴 내부문건의 존재 자체를 부인해왔던 것과 정면 배치되는 것이다.
- 4대강 사업 대운하 논란
- (서울=연합뉴스) 감사원은 지난 10일 전임 이명박 정부가 '대운하 공약'을 포기하겠다고 밝힌 이후에도 대운하 재추진을 염두에 두고 4대강 사업을 설계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이 전 대통령 측은 11일 4대강 살리기는 대운하와 무관하며 이 전 대통령도 이미 여러 차례 공개적으로 대운하를 추진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천명했다고 밝히면서 4대강 사업과 대운하 추진에 대한 논란이 다시 일고 있다. 사진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지난 2011년 10월 8일 경기도 양평군 양서문화체육공원에서 열린 남한강 '자전거 길' 길트임 기념행사를 마친 후 양수리 강변을 따라 자전거를 타고 달리는 모습. 2013.7.11 << 연합뉴스 DB >> zjin@yna.co.kr
공정위 내부문건으로 추정되는 지난 2011년 7월1일자 문건에는 '내년 총선 및 대선 등 정치 일정에 따른 정치적 영향력 배제 등을 고려해 대선 이후 상정(사건의 처분)을 목표로 실시한 계획'이라는 표현이 들어있다. 의원들은 "공정위가 4대강 담합 비리조사 및 처리를 고의로 지연시키고 더 나아가 입찰담합 전반을 축소·은폐했다는 사실이 드러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감사원의 문답서에는 국정원이 4대강 입찰담합과 관련한 정보 수집을 위해 전담 직원을 별도로 두고 국토해양부와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 관계자들을 접촉해온 내용도 포함돼 있다고 의원들은 전했다.
국토해양부 H 전 국장은 지난 3월29일 감사원 감사에서 "당시 (국정원에) 전담 직원이 별도로 있었다"며 "(국정원 직원이) 국토해양부의 경우 국장급 이상만 만났지만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의 경우 과장급도 만났다"고 진술했다는 것이다.
의원들은 "이는 대공, 대정부 전복, 방첩, 대테러 및 국제범죄조직에 대한 보안정보 수집 등 국정원의 공식 직무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는 업무"라며 "4대강 사업을 집중 수주한 황보건설로부터 뇌물 수수 의혹을 받는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이 정보를 이용했는지도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