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명 서 | ||
용산구 소재 효창원은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 이동녕과 김구, 비서장 차리석, 군무부장 조성환 선생과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의사가 묻혀 있는 곳입니다. 이곳은 1946년 김구 주석께서 묘역을 조성할 당시 안중근 의사 유해를 모시기 위해 빈뫼(허묘)를 마련해 놓은 곳이기도 합니다. 2010년 3월 26일에는 안중근 의사 순국 100주기를 맞아 40년, 30년간 효창원을 보살피던 사람들이 이 빈뫼에 구천을 떠돌던 안중근 의사님 넋을 모시는 행사를 경건하게 치룬바 있습니다. 이에 효창원은 그간 일곱 분 독립선열이 쉬시던 곳에서 여덟 분의 독립선열 영혼들이 쉬시며 담소하는 곳으로써 위상이 더욱 높아지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는 현행 대한민국 헌법 전문과 대한민국 최상위 헌법조문의 제1조 1항~2항이 임시정부 ‘약헌’에서 직역 한 것임을 볼 때, 효창원독립선열묘역은 대한민국 수립 이후 가장 먼저 국립묘지의 예우를 받아야 할 곳입니다. 그러나 김구 주석 서거 이후, 친일반민족세력이 기반이 된 독재정권에 의해 자행된 효창원의 심각한 훼손은 바로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우리의 독립운동사에 대한 지속적인 탄압과 평가절하였다고 아니할 수 없습니다. 우리가 독립선열에 대한 배은망덕한 후손이 아니라면, 이제라도 만신창이가 된 효창원의 훼손을 바로 잡고, 효창원이 겨레 사랑 정신이 살아 숨쉬는 역사 교육의 장이 되도록 하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합니다. 또 1932년 상하이 일본영사관 경찰부가 발행한 ‘조선민족운동연감’을 근거로 하는 ‘대한민국임시정부가 4월 13일에 건립되었다’는 주장도 4월 11일로 바로잡아야 합니다. | ||
| ||
2010년 4월 11일 | ||
대한민국 임시정부 건립 91돌을 맞아 | ||
| ||
| ||
|
안중근 의사의 순국 101주년을 맞아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에서도 추모의 열기가 이어졌다.안 의사의 순국일인 26일 트위터리언들은 서로 사진과 글을 리트윗(트위터 사용자의 글을 팔로어들과 공유하는 것) 하며 그의 숭고한 나라사랑과 웅지를 기렸다.안 의사가 중국 뤼순감옥에서 사형 전에 남긴 유묵은 그 중에서도 인기다. 네티즌들은 유묵이 "스스로 아끼는 집"이라는 뜻의 자애실(自愛室)로 알려진 것을 자애보(自愛寶)로 고쳐 읽어야 한다는 내용의 글을 올리고 있다. 자애보는 "스스로를 보배처럼 사랑한다"는 뜻이다.
안의사의 모친 조마리아 여사가 아들의 사형 구형 소식을 듣고 보낸 짧은 편지도 울림을 남긴다. 조선인 전체의 공분을 짊어진 죽음이 불효가 될 수 없으니 항소하지 말라는 내용의 글은 읽은 이들의 마음을 적신다.
트위터의 네티즌들은 "그 어머니의 그 아들 감사합니다", "어머니의 마음은 어땠을까…더 마음이 아프고 또 존경스럽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효창공원에서 오전 11시 열린 안 의사 추모식에 국회의원 등 정치인들의 조화하나 없는 현실도 화제다. 한 네티즌은 "배우 정준호 씨 결혼식에는 이명박 대통령 화환이 있던데"라며 안타까워했다.
한편 서울 남산 안중근의사기념관에서도 추념식이 열렸으며 중국 뤼순 감옥에서도 추모식이 열렸다. 뤼순 감옥 추모식에는 안 의사 순국 100주년이었던 지난해와 달리 정치인들의 발길이 끊겼다는 후문이다.